scribble

게임이론(Game theory)

창천(蒼天) 2010. 12. 22. 11:01

게임이론은 한 사람의 행위가 다른 사람의 행위에 미치는 상호의존적, 전략적 상황에서 의사결정이 어떻게 이루어지는가를 연구하는 이론.

특징.
1. 의사결정자들의 합리적 선택(의사결정자들의 선호는 명확하게 정의되어 있다.)
2. 상대방 반응을 충분히 고려하여 의사결정

구성 요소
경기자(player) 
전략(strategy) : 경기자가 행할 수 있는 모든 가능한 행동
보수(payoff) : 각 경기자들이 선택한 전략 하에서 이들에게 돌아갈 결과를 수치로 나타낸 것


협조적 게임이론(cooperative game theory)
: 경기자의 일부 또는 전부가 자발적으로 구속력 있는 계약에 합의하여 연대가 허용되는 경우
ex) 국제무역, 노사 단체협약, 유죄협상제도[각주:1]

비협조적 게임이론(non-cooperative game theory)
: 원칙적으로 구속력 있는 계약이나 연대를 허용하지 않는 경우
ex) 죄수의 딜레마[각주:2], 적대적 합병, 순수 경쟁

  1. plea bargaining : 피의자가 혐의를 인정하는 조건으로 검찰이 가벼운 범죄로 기소하거나 형량을 낮춰 주는 제도. [본문으로]
  2. 게임 이론의 유명한 사례로, 2명이 참가하는 비제로섬 게임의 일종이다. 이 사례는 협력을 통해 서로 이익이 되는 상황이 아닌 더욱 불리한 상황을 선택하는 문제가 발생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본문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