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ID CLI tool 사용법
areca SATA Controller CLI32 HDD check방법
areca linux 모니터링툴
ftp://ftp.areca.com.tw/RaidCards/AP_Drivers/Linux/CLI/
wget ftp://ftp.areca.com.tw/RaidCards/AP_Drivers/Linux/CLI/v1.82_81103.zip
unzip v1.82_81103.zip
cd V1.82_81103
chmod 700 ./cli32
./cli32
실행후 아래 메뉴얼 참고
http://www.areca.com.tw/support/main.htm
아레카레이드 CLI tool 사용법
archttp32를 통하여 웹상에서도 레이드 상태 및 레이드관련 작업을 수행할 수 있지만
cli32라는 명령어를통하여 콘송상에서도 레이드관련 작업이 가능하다 .
하지만 사용법을 정확히 숙지하지않으면 소중한 데이터를 한순간에
잃어버릴수있다
기본사용법
./cli32 <CMD> <sub_commend> <parameter>
또는
./cli32
cLI> <CMD> <sub_commend> <parameter>
위와 같이 형태로 사용되며
CMD
main 명령를 보여주는 명령어이다.
set 글로벌세팅을 하기위한 명령어
rsf 레이드 관련 세팅을 위한 명령어
vsf 볼륨셋을 세팅하기 위한 명령어
disk 물리적인 디스크를 관리하기위한 명령어
sys 시스템 설정 명령어
net 이더넷에 관련된 명령어
event 이벤트관련 명령어
hw 하드위어적인 정보를 보기위한 명령어
exit CLI모드에서 빠져나가기위한 명령어
rsf create 레이드 셋을 구성하기 위한 명령어이다
delete 구성된 레이드셋을 삭제하기위한 명령어이다.
createhs 핫 스페어를 구성하기위한 명령어이다
deletehs 구성된 핫스페어를 삭제하기위한 명령어이다.
info 레이드셋 정보를 보기위한 명렁어이다.
vsf create 볼륨셋을 구성하기위한 명령어이다
delete 볼륨셋을 삭제하기위한 명령어이다
check 구성된 볼룸셋을 체크하기위한 명령어이다
info 구성된 볼룸셋 정보를 확인하기위한 명령어이다.
disk info 물리디스크상태를 보기위한 명령어이다.
event info 레이드관련 로그를 보기위한 명령어이다
clear 레이드관련 로그를 보기위한 명령어이다
예제
디스크는 500GB * 8개
현제 디스트 8개가 장착이되어있고
7개의 디스크로 raid5를 구성하고
1개의 디스크로 핫스페어로 사용하다
레이드 설정을 위한 로그인
CLI> set password=0000
레이드 구성 :
CLI> create drv=1~7 name=RaidSet1
CLI> rsf info
Num Name Disks TotalCap FreeCap DiskChannels State
===============================================================================
1 Raid Set # 00 7 3500.0GB 0.0GB 1234567 Normal
===============================================================================
볼륨셋 구성
CLI> vsf create raid=1 capacity=3000 level=5 name=ARC-1220-VOL#00
CLI> vsf info
# Name Raid# Level Capacity Ch/Id/Lun State
===============================================================================
1 ARC-1220-VOL#00 1 Raid5 3000.0GB 00/00/00 Normal
===============================================================================
여기서보면 레이드셋 구성시 적용된 용량과 볼륨셋 적용시 적용된용량이 틀리다 .
레이드셋 구성시 나타나는 용량은 전체 디스트의 용량이며
볼륨셋 구성시 나타나는 용량은 레이드 레벨에따른 사용가능한 용량으로 설정하여야 한다.
핫스페어 구성
CLI>rsf createhs drv=8
디스크정보 확인하기
CLI>disk info
Ch ModelName Serial# FirmRev Capacity State
===============================================================================
1 Hitachi HDT7250 VFK401R41WDLDK V56OA7EA 500.1GB RaidSet Member(1)
2 Hitachi HDT7250 VFK401R41WD8SK V56OA7EA 500.1GB RaidSet Member(1)
3 Hitachi HDT7250 VFK401R41WMR0K V56OA7EA 500.1GB RaidSet Member(1)
4 Hitachi HDT7250 VFK401R41WMP7K V56OA7EA 500.1GB RaidSet Member(1)
5 Hitachi HDT7250 VFK401R41WMWEK V56OA7EA 500.1GB RaidSet Member(1)
6 Hitachi HDT7250 VFK401R41WMWLK V56OA7EA 500.1GB RaidSet Member(1)
7 Hitachi HDT7250 VFK401R41WN5JK V56OA7EA 500.1GB RaidSet Member(1)
8 Hitachi HDT7250 VFK401R41WMPDK V56OA7EA 500.1GB HotSpare
===============================================================================
로그확인
CLI>event info
Date-Time Device Event Type
===============================================================================
2008-3-14 4:55:42 ARC-1220-VOL#00 Complete Init
2008-3-13 15:58:29 Proxy Or Inband HTTP Log In
2008-3-13 15:40:8 ARC-1220-VOL#00 Start Initialize
2008-3-13 15:39:19 H/W MONITOR Raid Powered On
2008-3-13 15:38:36 ARC-1220-VOL#00 RaidSet Degraded
2008-3-13 15:37:31 ARC-1220-VOL#00 Start Initialize
2008-3-13 15:37:31 ARC-1220-VOL#00 Create Volume
2008-3-13 15:37:31 Raid Set # 00 Create RaidSet
===============================================================================
※ 여기서 핫스페어를 사용하는이유는 레이드5의 경우 1개의 디스크 장애에도
데이터를보호하기위해 사용하다,
하지만 2개의 디스크가 장애가 나는경우 데이터는 소실되어 버리기때문에
1개가 장애날경우 바로 레이드구성복구가 가능하도록 핫스페어를 사용하다
즉 7개의 디스크 중에 1개가 장애나면 핫스페어 리빌딩이되어 정상 서비스를
하게되고 장애난 디스크는 레이드 셋에서 제외된다 .
출처 : http://www.superuser.co.kr/blog/locli/?p=5&
CLI>disk info
CLI>event info
쉘상에서 바로 처리하기
./cli32 disk info
./cli32 event info
이 명령으로 HDD상황을 수시로 체크한다.
작성 : 2009년 2월12일 (주)웹호스트 http://www.webhos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