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ribble
인생팔고(人生八苦)
창천(蒼天)
2003. 5. 16. 16:19
불도(佛道)에서는 사람이 살아가는데 있어 여덟가지 고통이 있다고 말한다.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는 생노병사(生老病死) 네가지와 애별리고(愛別離苦 : 사랑하는 사람과 이별하는 것이 고), 원증회고(怨憎會苦 : 원망과 미워함에서 못 떠나는 것이 고), 구부득고(求不得苦 : 갖고 싶은 것을 못 가지는 것이 고), 오음성고(五陰盛苦 : 오온이 서로 맞지 않거나 생각의 발로가 맞지 않는 것이 고)라는 약간은 생소한 고통을 합쳐 인생팔고(人生八苦)라 칭한다.
死를 제외한 生老病은 현재진행형으로 겪고 있기도 하고, 과거형이 된 것도 있다.
애별리고, 원증회고는... 글쎄...--;;
애별리고는 겪어본듯 하지만 원증회고는 아직인거 같다...
구부득고는 언제나 겪는 것이고..(이렇게 보면 난 물욕이 가장 높은게 되는건가? -_-a)
오음성고는... 이미 한번 크게 겪은 적이 있다. --;;
과연 이 고통들을 모두 끊을 수 있다는게 가능할까?
번뇌를 끊는다는거... 그리 쉬운 일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또한 자신의 노력만으로 이룰수 있는 일도 아니라고 생각한다.
영화 '동승'(솔직히 이거 보고 친구들한테 좋은소리 못들었다. --;)을 보면 이런 말이 나온다.
'내것이 아닌 것은 기다린다 해도 내게 오지 않는다'
이 말 하나만 마음깊이 새길 수 있다면 애별리고, 원증회고는 깨끗이 정리할 수 있지 않을까?
인생은 기다림이긴 하지만.. 진실로 기다려도 오지 않는 것들이 있음을 아는 것이 바로 번뇌를 끊고 해탈에 이르는 것이 아닐까 생각한다. --;;
(내가 쓰고도 앞뒤.. 전혀 안맞는다. --;; 읽는 사람들은 알아서 해석하길.. --;)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는 생노병사(生老病死) 네가지와 애별리고(愛別離苦 : 사랑하는 사람과 이별하는 것이 고), 원증회고(怨憎會苦 : 원망과 미워함에서 못 떠나는 것이 고), 구부득고(求不得苦 : 갖고 싶은 것을 못 가지는 것이 고), 오음성고(五陰盛苦 : 오온이 서로 맞지 않거나 생각의 발로가 맞지 않는 것이 고)라는 약간은 생소한 고통을 합쳐 인생팔고(人生八苦)라 칭한다.
死를 제외한 生老病은 현재진행형으로 겪고 있기도 하고, 과거형이 된 것도 있다.
애별리고, 원증회고는... 글쎄...--;;
애별리고는 겪어본듯 하지만 원증회고는 아직인거 같다...
구부득고는 언제나 겪는 것이고..(이렇게 보면 난 물욕이 가장 높은게 되는건가? -_-a)
오음성고는... 이미 한번 크게 겪은 적이 있다. --;;
과연 이 고통들을 모두 끊을 수 있다는게 가능할까?
번뇌를 끊는다는거... 그리 쉬운 일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또한 자신의 노력만으로 이룰수 있는 일도 아니라고 생각한다.
영화 '동승'(솔직히 이거 보고 친구들한테 좋은소리 못들었다. --;)을 보면 이런 말이 나온다.
'내것이 아닌 것은 기다린다 해도 내게 오지 않는다'
이 말 하나만 마음깊이 새길 수 있다면 애별리고, 원증회고는 깨끗이 정리할 수 있지 않을까?
인생은 기다림이긴 하지만.. 진실로 기다려도 오지 않는 것들이 있음을 아는 것이 바로 번뇌를 끊고 해탈에 이르는 것이 아닐까 생각한다. --;;
(내가 쓰고도 앞뒤.. 전혀 안맞는다. --;; 읽는 사람들은 알아서 해석하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