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Anaconda
- HMI
- geckodriver
- LOG
- checkbox
- 맥코트
- build
- STS
- Eclipse
- 말라키
- JQuery
- pythoncom37.dll
- error
- Custom
- Linux
- Python
- 파이썬
- SCADA
- DataTables
- 분노
- 리눅스
- 가상환경
- ORA-28002
- 명령어
- 원한
- Today
- Total
목록sentiments (289)
2010년 5월 1일, 2막
인문학 공부법저자안상헌 지음출판사북포스 | 2012-06-20 출간카테고리인문책소개인문학 공부에는 특별한 방법이 있다!『통찰력을 길러주는 인문학 ... 인문학 공부는 질문을 찾아내고 답하고, 다시 새롭고 구체적인 질문을 찾아내고 답해나가는 과정의 연속이다.한순간도 질문을 놓치지 않는 것, 그것이 인문학을 공부하는 최고의 비결이다. 인문학은 자신에게 필요한 문장을 스스로 찾아내게 하는 힘을 가지고 있다. 직접 알려주지 않고 스스로 찾고 발견하도록 유도한다. 그래서 인문학은 그냥 메시지를 받아들이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다. '공부'를 해야 한다. 스스로 공부해서 찾아낸 문장만이 힘으 가질 수 있다. 그 과정을 통해 다른 문장을 얻으면 다르게 생각할 수 있다. 다르게 생각하면 세상이 다르게 보인다. 시야가 확대되..
흑산 저자 김훈 지음 출판사 학고재 | 2011-10-20 출간 카테고리 소설 책소개 저 너머를 향해 피 흘리며 나아간 사람들!조선시대 천주교 박해와... 김훈의 소설은... 무미건조하다. 극히 사실적이고 객관적 입장에서 쓰는 듯 하다. 작가가 기자 출신이라서 그런 것일까? 칼의 노래, 현의 노래, 남한산성, 그리고 흑산... 소설이지만 소설이 아닌듯 느껴지는 것은 그런 이유일지도 모른다. 그들이 사학인 천주교에 깊이 빠져든 것은 '물 뿌려 마당 쓸고 부르면 대답하는 일이 근본이라 한 '소학'과 같은 쉽고 분명함 때문이 아니었을까. 물론 지금의 나로선 그 분명하다는 '소학'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있지만 천주교의 근본, 아니 종교의 근본은 알고 있으니... 나 역시 '소학'도 알게 될 것이다. ----..
48분기적의독서법인생역전책읽기프로젝트 카테고리 인문 > 독서/글쓰기 지은이 김병완 (미다스북스, 2011년) 상세보기 독서천재가된홍대리운명을바꾸는책읽기프로젝트 카테고리 인문 > 독서/글쓰기 지은이 이지성 (다산라이프, 2011년) 상세보기 이 두 책은 공통점이 있다. 물론 내가 같은 시기에 읽었다는 점도 있지만 책에서 주장하는 바 역시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두 책의 골자는 다음과 같다. 책만큼 사람을 바꿀 수 있는 것은 드물다. 책을 많이 읽어라. 짧은 시간에 많은 책을 읽어 나를 바꿔라. 3년의 시간에 1000권의 책을 읽으면 바뀐 나를 만날 수 있다. 48분 기적의 독서법에서는 3년의 시간동안 1000권의 책을, 독서 천재 홍대리에서는 단계별로 1년간 100권, 그 다음엔 1년에 365권을 이야기..
로지코믹스버트런드러셀의삶을통해보는수학의원리 카테고리 과학 > 교양과학 지은이 아포스톨로스 독시아디스 (랜덤하우스, 2011년) 상세보기 버트런드 러셀(Bertrand Russell). 서양철학사를 읽기 전에 버트런드 러셀에 대해 알아야 할 듯 하여 읽게 된 '만화'책! 이 책은 버트런드 러셀이 절대적인 진리( 수학의 확고한 토대를 찾는 문제 )를 찾아가는 여정을 담은 만화이다. 또한 광기에 대한 이야기이다. 러셀과 같은 길을 걸었던 많은 사람들이, 그의 자녀들이 모두 광기에 사로잡힌 것은 간과할 것은 아닌 듯 하다. '서양 철학사'를 보고 다만 철학자인줄로만 알았던 러셀이 논리학자이자 수학자이자 철학자라는 것을 알게 된 책이다. 이제 서양 철학사... 열심히 읽어보자...
공부의달인호모쿵푸스인문학인생역전프로젝트 카테고리 인문 > 인문학일반 지은이 고미숙 (그린비, 2007년) 상세보기 지금까지의 내 독서법, 공부법은 문제가 있다. 그걸 이 책을 읽으며 깨달았다. 무엇이 부족한지, 어떻게 고쳐야 할지 등을 알려준 책이다. 간단히 정리하자면... 고전을 읽어라. 읽을 때는 묵독하지 말고 암송하라. 그렇게 읽은 책을 구술하라. 그리고 글을 써라. 그리고 모든 일상이 '책'임을 알고 공부하라. 호모 쿵푸스의 공부법! 책을 읽어라. 특히 원대한 비전, 눈부신 지혜로 가득 찬 고전을 섭렵하라. 소리 내어 암송하라. 소리의 공명을 통해 다른 이들과 접속하라. 사람들 앞에서 구술하라. 지식과 정보에 서사적 육체를 입혀라. 앎의 코뮌을 조직하라. 즉 스승을 만나고 벗과 함께 공부하라. 일..
베스트플레이어왜우리는열광하고그들은세상을지배하는가 카테고리 자기계발 > 성공/처세 지은이 매슈 사이드 (행성:B웨이브, 2010년) 상세보기 한줄로 줄이자면... 세상을 지배하고자 한다면 도달하기 힘든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이루기 위해 정말 열심히 노력해야 한다. ------------------------------------------------------- Boundless Thinking : 경계를 넘나들어라! Only One! : 유일무이함을 추구하라! Unreachable Standard : 도달할 수 없는 기준을 설정하라! Never-ending Practices : 훈련만이 완벽에 이르는 지름길이다! Challenge the status Quo : 한계에 도전하라! Exceptional En..
긍정의배신 : 긍정적 사고는 어떻게 우리의 발등을 찍는가 카테고리 정치/사회 > 사회학 지은이 바버라 에런라이크 (부키, 2011년) 상세보기 '누가 내 치즈를 옮겼는가'라는 책이 회사의 정리해고를 정당화한다는 주장을 보고 나서... 처음엔 거부감이 생겼지만 프레임을 바꿔서 생각하면 타당한 말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외부적인 요인들로 인해 발생한 좋지 않은 일들은 모두 나의 부정적 사고로 인해 생긴 일이라고 생각하게 한다면 회사나 사회의 입장에서 보면 모든 나쁜 일(?)을 저지를 수 있는 면죄부를 얻게 된다. 근래 가장 인기를 얻었던 김난도 교수의 '아프니까 청춘이다' 역시 이와 같은 입장에서 보면 정말 나쁜 책이 될 수도 있다. 청년유니온의 김영경 위원장 역시 '아프니까 청춘이다'라는 책을 싫어한다고 하..
금오신화 카테고리 소설 > 소설문고/시리즈 지은이 김시습 (민음사, 2009년) 상세보기 김시습이 지은 우라나라 최초의 소설. 김시습... 생육신 중 한 사람... 매월당... 희대의 천재... 이 정도가 그에 대해 알고 있는 사전 지식인데... 만복사저포기 : 왜구의 침입으로 귀신이 된 여인과 사랑하게 된 양생. 이생규장전 : 취유부벽정기 남염부주지 용궁부연록 그다지 재미있게 넘어가지 않는 책이었다. 길지 않은 내용이었음에도... 몰입이... 안되더라..;; 한시가 중간중간 있었는데 이를 제대로 이해할 수 없어 그런 것이 아닐까 싶다. 모두 사대부 입장에서 쓰였다는 점 외에는... 글쎄 현실 비판에 대한 내용이 있다는데... 어디에 있는지는 잘 모르겠다. --; 나중에 다시 한번 읽어봐야 뭔가 더 보이..
호메로스에서돈키호테까지(서양사깊이읽기1) 카테고리 역사/문화 > 서양사 지은이 윌리엄 L.랭어 엮음 (푸른역사, 2001년) 상세보기 소크라테스, 역사에서 신화로 : '소크라테스의 변명'을 읽을 때 주안점을 두어야 할 사항들... 1. 소크라테스는 죽었고 아테네 민주정 역시 소멸되었다. 그러나 그의 재판은 위대한 신화로 남아 있다. 그리고 모든 신화가 그러하듯이, 그 신화를 믿는 사람들은 그것이 보편적인 진리를 드러내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사람들은 이것이야말로 다수의 폭정에 대한 증거이며, 이성과 개인의 양심이 대중 지배에 의해 압살된 증거라고 말한다. 그리고 이거이야말로 범용한 인간들이 천재에 대해 갖는 증오심의 명백한 증거라고 말한다. 소크라테스는 죽었다. 그러나 그 재판과 관련된 문제는 아직도 죽지..
조선지식인의독서노트책읽기에대한사유와기록 카테고리 인문 > 인문학일반 지은이 고전연구회 사암 (포럼, 2007년) 상세보기 학문을 하는 사람은 독서할 때 생각을 하지 않을 수 없다. 생각을 하면 덕고, 생각하지 않으면 얻지 못하기 때문이다. 또한 생각이 있다면 기록하지 않을 수 없다. 기록을 하면 남고, 기록하지 않으면 사라진다. 그러므로 생각하고 기록하고 다시 생각하고 해석하면, '앎과 깨달음'이 더욱 자라나서 말과 행동이 두루 통하게 된다. 만약 그렇지 못하면 '앎과 깨달음'은 흔적도 없이 사라지고 말과 행동은 꽉 막히게 되어, 얻었다 해도 반드시 다시 잃게 마련이다. 학문과 독서의 요점은 부지런하고 또한 반드시 외워야 하며 슬쩍 지나치듯 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읽고 생각하며, 생각하고 글을 짓는다..